하나의 pod안에는 여러 컨테이가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.
하지만, 이것은 좋은 방식이 아닙니다.
그렇다면 이런 별도의 포드와 서비스를 사용해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NodePort 와 ClusterIP
항목 | ClusterIP | NodePort |
---|---|---|
기본 목적 | 클러스터 내부 통신 전용 | 외부에서 클러스터 안으로 접속 허용 |
접근 가능 위치 |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 | 외부(노드 IP + 포트)에서 접근 가능 |
할당되는 IP | 클러스터 내 가상 IP (ClusterIP) | 각 Node에 열린 고정 포트 (30000~32767) |
트래픽 흐름 | 내부 Pod → Service → 연결된 Pod | 외부 요청(NodeIP:Port) → Node → Service → Pod |
사용 예시 | 마이크로서비스 내부 호출용 | 간단한 테스트용 외부 오픈, 작은 서비스용 |
NodePort
👉 외부에서 클러스터 안으로 접속 허용
📌 실제로 서비스가 파드를 감싸는 구조는 아님
ClusterIP